조건부 확률(Conditional probability)은 어떤 사건의 발생을 전제로 다른 사건의 발생 확률을 계산하는 확률이었다면, 조건부 분포(Conditional distribution)는 그것을 확률 대신 확률분포로 치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.
조건부 분포는 주변분포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, 고로 결합확률분포 및 결합밀도함수의 존재 또한 전제로 한다.
아래와 같은 예제가 있다고 가정하자.
위 예제에 따른 결합확률분포 f(x, y)는 아래와 같다.
이 결합확률분포 f(x, y)에 대한 주변분포 g(x), h(y)는 아래와 같다.
여기에서 Row total은 g(x), Column total은 h(y)로 볼 수 있다.
이 때 조건부 분포는 결합확률분포를 분자로 하고 주변분포를 분모로 한 확률분포이다.
조건부 분포의 기본적인 공식은 아래와 같다.
$$ f(y|x) = \frac{f(x, y)}{g(x)} (g(x) > 0) $$
$$ f(x|y) = \frac{f(x, y)}{h(y)} (h(y) > 0) $$
'통계학 > 기초 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초 통계] 21. 분산과 표준편차: Variance and Standard Deviation (0) | 2023.02.06 |
---|---|
[기초 통계] 20. 기댓값: Expected Value (0) | 2023.02.05 |
[기초 통계] 18. 주변분포: Marginal Distribution (0) | 2023.01.31 |
[기초 통계] 17. 결합밀도함수: Joint Density Function (0) | 2023.01.30 |
[기초 통계] 16. 결합확률분포: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(0) | 2023.01.25 |